OEM과 ODM의 활용전략

작성자 : 김고은 | 조회수 1486 | 등록일 2024-05-24



OEMODM의 활용전략






화장품을 생산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업체 선정 및 생산방식에서 혼돈이 있어서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습니다. OEM과 ODM의 차이와 이의 활용전략을 어떻게 가져가면 좋을까요? 




답변; 


1. OEM과 ODM의 차이




1)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의 의미와 활용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은 주문자의 의뢰에 따라 주문자의 상표를 부착하여 판매할 상품을 제작하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형태로 제작과 유통이 분리되는 이유는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높은 인건비로 인해 가격경쟁력을 상실하여 현지에서의 개발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갖추고 있는 글로벌 업체에서는 인건비가 저렴한 개발도상국의 업체에 설계도를 주어 제품생산을 의뢰하고, 납품받은 제품에 자사의 브랜드를 붙여 유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국적기업 신발 업체인 나이키는 연구소에서 R&D를 통하여 시제품 출시되면, 생산라인을 확보 후 OEM으로 신발을 생산하는 것입니다. 즉 나이키 런닝화의 20% 가량은 대한민국의 00실업에서 생산된 후, 나이키의 상표를 부착하여 판매하게 됩니다(위키백과). 


OEM은 '주문자 상표 부착방식의 생산방식'이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산에 필요한 자재들을 공급하거나 자사 상표를 제공하여서 생산 후 자사 상표부착 및 포장하는 경우에 해당이 됩니다. 즉 양복, 외출복 등을 생산하는 경우 자사의 생산라인을 통하여 생산하는 경우가 많지만 국내 혹은 해외 바이어로부터 주문이 많은 경우 생산업체를 선정하여 옷감, 봉사(실), 어깨패드, 안감, 부직포, 지퍼, 단추, 그리고 상표 등을 제공하여서 위탁생산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이 됩니다.




2)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er)의 의미와 활용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er, 제조자 설계 생산)은 OEM보다 한층 발전한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의류를 생산하는 경우 주문자의 의류 설계도에 해당하는 패턴을 받아서 생산만 하는 소극적인 방식에서 한걸음 발전한 것으로, 의류의 디자인과 패턴부터 완성까지 제조자가 모두 생산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990년에 설립한 한국콜마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ODM시스템을 도입하여 전 세계 50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화장품 출하하는데, 상품의 기획, 개발부터 완제품의 생산, 품질관리, 출하에 이르기까지 토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한국콜마, 브랜드를 브랜딩하다. 박기현 지음) 




2. OEM과 ODM의 활용전략


OEM방식은 발주기업과 제조기업 간의 구분이 확실하고, 발주기업의 힘이 훨씬 강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즉 발주기업이 기술을 가졌기 때문에 제조업체는 발주기업이 원하는 대로 생산만 하는 수동적인 형태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기업이 OEM방식으로 제품을 주문 제작하는 경우에는 기술력과 시장환경(발주, 주문, 검수, 협력업체 평가 및 관리, 물류 등)을 충분히 이해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ODM은 제조기업이 원천기술을 가졌기 때문에 발주기업과 협의가 가능합니다. 즉 우리 기업은 이러한 기술을 이용해서 이렇게 제품을 생산 할 계획인데 구매하겠소? 라는 제안이 가능합니다. 제조기업이 발주기업과 동등한 관계가 되는 전략적 관계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본 기업이 ODM으로 제품을 주문 제작하는 경우에는 발주 가능한 기업들의 역량을 파악하고, 제품제작능력, 신용도, 시장평판 등을 충분이 알아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초기 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자사가 가지고 있는 역량과 경쟁자 분석 후 적합한 전략적 선택을 하여야 합니다. 또한, 시장 초기 진입기업들은 제품생산에 앞서 중간 유통업자들이 많은 관계로 이들의 전략적 선택도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external_image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