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첨부파일
-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이하 식약처)와 함께 18일(목) 서울 롯데호텔 월드에서 "글로벌 화장품 수출규제·관세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화장품 수출규제 세미나는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인 화장품 분야 기업의 글로벌 진출 과정에 있어 주요 애로사항인 미국·일본·유럽 등 주요 화장품 수출국의 수출규제에 대한 정보제공을 위해 '24년부터 중기부와 식약처가 공동으로 개최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美 관세부과 등으로 화장품 수출 기업들의 관세 관련 애로사항이 심화됨에 따라, 화장품 품목 관세 정보와 원산지 증명 등 대응방안을 소개하는 "국가별 화장품 품목 관세 정책 변화 및 대응요령" 세션을 별도로 마련하였다.
또한, 미국 MoCRA(화장품규제현대화법)에 따른 美 화장품 규제 동향 및 주요 통관 거부사례, 주요 화장품 규제 국가인 유럽(영국포함)·중국의 주요 규제 내용 및 대응 전략, 국가별 할랄제도 간 차이점 및 대응전략 등 화장품 수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수출규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기업과 규제·관세 전문가 간 1:1 애로 상담을 병행하여 참여기업의 수출규제·관세에 대한 맞춤형 애로 해소를 지원한다.
중기부 이순배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최근 유럽·미국 등을 중심으로 글로벌 화장품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며,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인 화장품이 지금과 같은 글로벌 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중기부도 수출규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식약처 신준수 바이오생약국장은 "K-화장품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략적 규제외교 및 안전성 평가제 도입 등 비관세장벽을 선제적으로 대응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화장품 수출규제·관세 세미나"에서 진행된 다양한 강연은 추후 중기부 수출지원센터 누리집(www.smes.go.kr/exportcenter),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센터 누리집(www.smes.go.kr/globalcerti), 화장품 글로벌 규제조화 지원센터(helpcosmetic.or.kr)에 업로드되어 상시로 확인할 수 있다.
[자료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