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도 상반기 및 2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14716 | 등록일 2020-07-23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02339&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20년도 상반기 및 2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을 발표했다.

’20년 상반기 기준 중소기업 수출은 466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6.2%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 지속으로 주요시장 및 주력품목 모두에서 나타난 수출 부진의 영향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다만 중소기업 수출(△6.2%)은 전체 수출(△11.3.%) 또는 대기업(△12.9%) 및 중견기업(△11.0%) 수출 감소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작고, 수출 중소기업 수도 76,196개사로 전년 동기대비 0.3% 증가했다.
 
* 수출기업 수 증가 주요 품목 : 기타섬유제품(마스크 등), 기타정밀화학제품(진단키트 등)

2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13.4% 감소한 225억 달러를 기록했으나 월별로 볼 때 6월에 감소폭이 크게 둔화되면서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다. 두 자릿수(△13.8%, △23.2%) 감소를 보인 4~5월에 비해 6월에는 감소폭을 한 자릿수(△1.9%)로 대폭 줄었다.

* 월별 수출 증감률(%) : (’20.1)△9.4→ (2)12.2→ (3)4.0→ (4)13.8(5)23.2(6)1.9

이는 미국・중국 등 주요 시장의 제조업 경기 회복 및 소비 회복 등에 따라 중소기업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제조용장비, 화장품 등의 6월 수출이 개선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수출증감률(%): <미국> (4)7.2→(5)△12.5→(6)17.0 / <중국> (4)△17.6→(5)△22.2→(6)10.5
** 6월 수출증감률(%) : (반도체제조용장비) 65.7, (전자응용기기) 9.9, (화장품) 15.5 등

한편,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상반기 K-방역제품, 비대면 유망품목은 큰 폭의 수출 증가세를 시현했다.
 
의료용 방진복・라텍스 장갑・손소독제 등 K-방역제품에 대한 해외수요가 급증해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은 11.8억 달러(’19.上 2.6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350.1% 증가했다.

특히 진단키트는 수출액이 1,130% 급증한 5.2억 달러(’19.上 0.4억달러)를 기록했고 수출국가 수는 149개국으로 전년 동기대비 20.2% 증가했다.

디지털장비, ICT 인프라 및 홈코노미 관련품목(가전제품, 가공식품, 취미 오락기구, 유아 및 애견용품 등) 등 감염병 시기에 수요가 증가한 비대면트렌드 유망품목은 28.3억 달러 수출로 전년 동기대비 35.2% 증가했다. 수출비중도 크게 늘어 전년에는 전체 중소기업 수출의 4.2%(20.9억 달러)였으나 금년 상반기에는 6.1%의 비중을 차지했다.
 
중기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패러다임 전환에 적극적으로 대비해 중소기업의 수출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하반기 총 1,105억원(3차 추경 431억원 포함)을 투입하여 수출바우처 및 비대면・온라인 방식의 수출지원 등을 하반기에도 지속 확대하며 수출 중소기업을 뒷받침할 것임을 밝혔다.
 
강성천 중기부 차관은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침체 속에서 당분간은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전망되지만 최대 수출국인 미・중 등 주요 지역의 여건 개선이 중소기업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K 방역제품 등 상반기 선전한 품목에 대한 수출지원을 지속하며, 하반기에는 특히 주요국들의 경제 재개를 중소기업 수출의 반등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비대면・온라인 방식의 수출지원 확대, 수출저변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성장정책과 방지현 사무관(☎042-481-447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1   상반기 및 2분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및 전망
 
<2020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 실적> (단위: 백만 달러, %)
구 분 2019년 2020년
2분기 상반기 1분기 2분기 상반기
4월 5월 6월 소계
수출액 25,985 49,674 24,105 7,703 6,940 7,866 22,509 46,614
증감률 △4.6 △5.3 1.8 △13.8 △23.2 △1.9 △13.4 △6.2
 
□ ‘20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6.2% 감소한 466억달러
 
ㅇ 1분기 소폭 증가세(1.8%)를 보이던 수출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수요 위축으로 급감하였다가 6월 다소 회복되며 감소폭 축소
 
* 월별 수출 증감률(%): (’20.1)△9.4→ (2)12.2→ (3)4.0→ (4)△13.8→ (5)△23.2→ (6)△1.9
 
ㅇ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은 대・중견기업과 비교할 대비 상대적으로 양호
 
* 기업규모별 수출 증감률(%): 전체(△11.3), 대기업(△12.9), 중견기업(△11.0), 중소(△6.2)
 
□ 2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3.4% 감소한 225억달러
 
ㅇ 상위 5개국 수출(총수출 61.9%)이 △8.8% 감소, 20대 수출품목(51.1%) 중 16개 품목이 감소하였으나, 기타정밀화학제품(진단키트) 등 4개 품목은 호조
 
구분(순위) 중국(1위) 미국(2위) 일본(3위) 베트남(4위) 홍콩(5위) 1~5위 합계
2분기 수출증감률 △11.4% 3.6% △5.0% △20.2% △7.4% △8.8%
총수출 비중(‘20년) 24.3% 13.7% 10.5% 9.6% 3.9% 61.9%
 
* 증가품목(4개) : 기타정밀화학제품(진단키트), 반도체제조용장비, 전자응용기기, 의약품
감소품목(16개) : 화장품, 플라스틱제품, 기타기계류, 합성수지, 자동차부품, 철강판 등
 
ㅇ 조업일수 △1.5일 감소(‘19.2분기 68.5일 →’20.2분기 67일) 효과도 작용
 
ㅇ 월별로는 3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했으나, 6월에는 일부 시장의 호조와 기저효과 등으로 감소폭이 대폭 축소되는 등 다소 개선
 
- 특히, 주요 수출시장 중 중국과 미국의 경우 5월 대폭 감소하였으나 6월에 증가세로 전환하였고 일본과 베트남의 경우 감소세 완화
 
* 수출 증감률(%): <중국> (5)△22.2→(6)10.5 / <미국> (5)△12.5→(6)17.0
 
참고 2   상반기 주요 국가·품목별 중소기업 수출 동향
 
□ (국가별) ‘20년 상반기 기준 10대 수출국가 중 미국과 대만 2개국의 수출이 증가, 6월 중국과 일본, 베트남 수출 감소 폭 완화
 
ㅇ (중국: 103.7억 달러, △8.7%) 1분기 조업중단으로 수출이 크게 감소했으나 제조업·소비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며 6월 수출 증가
 
* 수출 증감률(%) : (‘20.1)△14.1→(2)△6.3→(3)2.8→(4)△17.6→(5)△22.2→(6)10.5
 
ㅇ (미국: 60.9억 달러, 5.7%↑) 2분기에 제조업과 소비경기가 회복세·일부산업 투자확대(반도체, 전기차배터리)의 영향으로 수출 증가
 
* 수출 증감률(%) : (‘20.1)△7.4→(2)20.8→(3)13.7→(4)7.2→(5)△12.5→(6)17.0
 
ㅇ (일본: 48.0억 달러, △3.3%) 제조업 경기 위축·기저효과로 부진했으나 2분기에 소비 회복, 반도체·5G분야 투자 확대로 감소폭 완화
 
* 수출 증감률(%): (‘20.1)△12.7→(2)7.6→(3)2.6→(4)4.4→(5)△11.8→(6)△6.6
 
ㅇ (베트남: 46.9억 달러, △8.4%) 주요산업인 의류업계 타격으로 수출이 부진, 6월 스마트폰 생산량 확대로 감소폭 완화
 
* 수출 증감률(%): (‘20.1)△3.0→(2)13.2→(3)4.9→(4)△20.8→(5)△31.2→(6)△7.4
 
□ (품목별) ‘20년 상반기 기준 10대 수출품목 중 3개 품목 증가, 기타정밀화학제품(진단키트), 화장품과 반도체제조용장비 수출이 호조
 
ㅇ (플라스틱제품: 24.2억 달러, △3.2%) 주요국 제조업 경기 위축으로 감소했으나, 배터리 분리막 수요가 증가하며 감소세 완화
 
* 수출 증감률(%): (‘20.1)△7.2→(2)17.3→(3)14.3→(4)△9.6→(5)△27.3→(6)△1.1
 
ㅇ (화장품: 23.3억 달러, 2.1%↑) 위축되었던 주요국 소비시장이 2분기 회복세를 보이며 6월 수출이 크게 증가
 
* 수출 증감률(%): (‘20.1)△4.1→(2)6.2→(3)9.9→(4)△7.6→(5)△5.6→(6)15.5
 
ㅇ (자동차부품: 16.9억 달러, △16.8%) 글로벌 완성차 판매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부품 수요도 감소세를 지속
 
* 수출 증감률(%): (‘20.1)△1.0→(2)24.5→(3)13.8→(4)△41.9→(5)△56.4→(6)△30.7
 
ㅇ (반도체제조용장비: 15.6억 달러, 10.4%↑) 미국·일본·싱가포르 등에서 반도체투자 확대, 중국 디스플레이 투자증가로 수출 호조
 
* 수출 증감률(%): (‘20.1)△0.7→(2)32.6→(3)13.9→(4)△27.2→(5)11.3→(6)65.7
 
ㅇ (기타정밀화학제품: 10.5억 달러, 246.0%↑) 한국 진단키트의 글로벌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수출이 강한 상승세를 지속
 
* 수출 증감률(%): (‘20.1)△3.8→(2)26.5→(3)56.4→(4)533.0→(5)392.5→(6)437.8
참고3   2분기 주요 국가별 수출 동향
 
□ 글로벌 경기위축이 본격화되며 대부분 국가 수출이 크게 부진,
다만, 주요국 생산 재개 및 소비 회복세로 6월 수출 감소폭 완화
 
ㅇ(중국: 54.7억 달러, △11.4%) 4월△17.6% → 5월△22.2% → 6월10.5%
 
- 반도체제조용장비(37.1%↑, OLED 공장 증설)는 증가, 기타기계류(△35.1%, 전기차 배터리·디스플레이 공장 완공 기저효과), 석유제품(△67.5%, 항공유 수요 감소) 큰폭으로 감소
 
ㅇ(미국: 30.7억 달러, 3.6%↑) 4월7.2% → 5월△12.5% → 6월17.0%
 
- 기타정밀화학제품(4,376.6%↑, 진단키트), 기타기계류(288.9%↑, 전기차 배터리 공장 증설), 반도체제조용장비(13.3%↑, 데이터센터 증설), 화장품(22.2%↑, 소비회복)은 증가, 자동차부품(△47.9%, 완성차 판매 부진) 감소
 
ㅇ(일본: 23.6억 달러, △5.0%) 4월4.4% → 5월△11.8% → 6월△6.6%
 
- 코로나19 관련 기타정밀화학제품(1,518.3%↑), 기타섬유제품(160.4%↑) 및 화장품(114.0%↑, 한국 화장품 선호도 상승), 축전지(397.2%↑, 5G망 구축) 크게 증가, 소비시장 위축 및 작년 기저효과 따른 자동차부품(△46.5%) 레일및철구조물(△35.5%) 감소
 
ㅇ(베트남: 21.5억 달러, △20.2%) 4월△20.8% → 5월△31.2% → 6월△7.4%
 
- 스마트폰 생산 관련 기타기계류(55.3%↑), 무선통신기기(22.3%↑) 증가, 편직물(△35.4%, 글로벌 수요부진), 반도체제조용장비(△81.7%, 작년 기저효과) 감소
구 분 2020년 (단위: 백만 달러, %)
4월   5월   6월   2분기↓   1-6월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중국 1,794 △17.6 1,758 △22.2 1,920 10.5 5,472 △11.4 10,373 △8.7
미국 1,042 7.2 898 △12.5 1,132 17.0 3,073 3.6 6,087 5.7
일본 816 4.4 796 △11.8 751 △6.6 2,363 △5.0 4,799 △3.3
베트남 755 △20.8 628 △31.2 768 △7.4 2,151 △20.2 4,687 △8.4
홍콩 317 △1.4 310 △3.4 248 △17.9 875 △7.4 1,701 △6.6
대만 260 31.3 189 3.3 213 22.7 662 19.3 1,250 20.4
아세안 1,427 △21.0 1,184 △32.7 1,484 △9.2 4,096 △21.2 9,024 △9.8
EU 722 △13.9 659 △19.5 721 △4.0 2,101 △12.7 4,498 △2.5
20대 합계 6,488 △12.6 5,842 △23.4 6,578 △1.8 18,909 △13.1 38,846 △6.3
총 합계 7,703 △13.8 6,940 △23.2 7,866 △1.9 22,509 △13.4 46,614 △6.2
참고4   2분기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 코로나19 관련 품목(기타정밀화학제품, 기타섬유제품 등) 수출이 급증, 일부 산업 투자증가로 반도체제조용장비 등의 수출이 호조
 
ㅇ (화장품: 11.7억 달러, △0.3%) 4월△7.6→ 5월△5.6%→ 6월15.5%
 
- 소비 회복세 및 K-beauty 인기상승으로 미국(22.2%↑), 일본(114.0%↑), 베트남(7.8%↑) 증가, 중국(△1.7%)은 6월 증가세 전환으로 감소폭 완화
 
ㅇ (플라스틱제품: 11.2억 달러, △13.0%) 4월△9.6%→5월△27.3%→6월△1.1%
 
- 미국(18.7%↑, 바닥재), 헝가리(40.4%↑,배터리 분리막)는 증가했으나, 중국(△13.3%, 4,5월 제조업 위축), 베트남(△24.6% 4,5월 스마트폰 생산 감소), 인도(△66.4%, 광고용 소재 작년 급증 기저효과) 수출이 크게 감소
 
ㅇ (기타정밀화학제품: 8.6억 달러, 452.6%↑) 4월 533.0%→5월 392.5%→6월 437.8%
 
- 미국(4,376.6%↑), 브라질(5,104.0%↑), 일본(1,518.3%↑), 인도(399.2%↑), 사우디아라비아(4,798.1%↑) 등 다수 국가에서 급성장
 
ㅇ (반도체제조용장비: 8.5억 달러, 8.3%↑) 4월△27.2% →5월11.3%→6월 65.7%
 
- 중국(37.1%↑, OLED공장 증설), 미국(13.3%↑), 싱가포르(49.5%↑)등에서 중고 반도체장비 수요가 급증, 베트남(△81.7%, 디스플레이 및 스마트폰 현지 공장 증설효과 종료)수출은 기저효과로 급감
 
ㅇ (기타기계류: 7.3억 달러, △12.0%) 4월△0.9%→5월△27.0%→6월△7.8%
 
- 미국(288.9%↑, 전기차배터리 공장 대규모 증설), 베트남(55.3%↑,폴더블OLED공장 증설) 수출이 급증했으나, 중국(△35.1%), 폴란드(△82.8%) 수출이 작년 전기차배터리 공장 증설의 기저효과로 크게 부진
 
ㅇ (자동차부품: 5.9억 달러, △43.4%) 4월△41.9%→5월△56.4%→6월△30.7%
 
- 글로벌 완성차 판매 부진이 이어지면서 미국(△47.9%), 중국(△29.7%), 일본(△46.5%), 멕시코(△65.7%) 등 주요국 수출이 크게 감소
 
구 분 2020년 (단위: 백만 달러, %)
4월   5월   6월   2분기↓   1-6월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화장품 395 △7.6 392 △5.6 382 15.5 1,169 △0.3 2,329 2.1
플라스틱 제품 398 △9.6 323 △27.3 399 △1.1 1,120 △13.0 2,415 △3.2
기타정밀화학제품 324 533.0 279 392.5 257 437.8 860 452.6 1,052 246.0
반도체제조용장비 251 △27.2 266 11.3 332 65.7 848 8.3 1,558 10.4
기타기계류 298 △0.9 214 △27.0 222 △7.8 734 △12.0 1,405 △3.6
계측제어분석기 201 △4.2 208 △11.3 198 0.6 608 △5.3 1,123 △2.7
합성수지 214 △24.9 177 △31.4 208 △13.4 599 △23.5 1,297 △17.8
자동차부품 208 △41.9 157 △56.4 226 △30.7 591 △43.4 1,686 △16.8
20개 주요품목 3,956 △6.5 3,564 △15.8 3,993 8.4 11,513 △5.2 22,778 △1.5
합계 7,703 △13.8 6,940 △23.2 7,866 △1.9 22,509 △13.4 46,614 △6.2
참고5   비대면트렌드 유망품목 수출동향 (상반기)
 
□ (의미)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교역량 감소 가운데서도 경제 패러다임 변화(비대면트렌드)로 수출 확대가 기대되는 불황속 유망품목
 
 
선정기준 선정결과
① 코로나 이후 전년동기비 수출액 10%이상
(수출액 10만 달러 이하 제품 제외)
?노트북, 모니터, 웹캠, 빔프로젝터, 마이크, 헤드폰, 마우스, 스피커 등
?공기청정기, 진공청소기 등
?간편식품, 통조림, 라면, 농축수산가공품, 주방용품 등
?운동복, 자전거, 게임기 및 완구, 취미오락기구 등
?유아(의류, 분유) 및 펫(사료, 캣타워 등) 용품
?5G 통신장비(중계기, 서버, 분배기), 광케이블, 드론, 산업용 로봇, 전기차 충전기, 물류자동화 시스템 등
② 글로벌 소비트렌드(디지털화, 언택트 방식 소비 및 물류, economy at home) 고려
③ 정부가 집중 육성할 계획인 ‘비대면 산업’으로 분류되는지 여부
①디지털장비, ②홈코노미(가전제품, 가공식품, 취미오락기구, 유아및애견용품), ③ICT 인프라
 
□ (총괄) 6대 품목의 수출액은 28.3억 달러, 중소 전체 수출의 6.1%
 
ㅇ 수출비중 4%대를 유지해오다가, 코로나19 영향으로 전체 수출은 감소(△6.2%)하면서 해당 품목 수출이 크게 증가(+35.2%)하여 수출비중 증가
 
< 수출액 및 비중(단위: 억 달러, %) >
 
구 분 2017 2018 2019   19.1~6월 20.1~6월  
증감률 증감률
중소기업 전체 1,032 1,052 1,009 △4.1 497 466 △6.2
6대 품목 47.5 46.8 47.4 +1.2 20.9 28.3 +35.2
(비중) 4.6 4.5 4.7 - 4.2 6.1 -
 
< 중소 전체 및 6대 품목 수출 증감률 비교(%) > < ‘20년 1~6월 6대 품목별 수출 증감률(%) >
ㅇ (품목별) 셧다운으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가전제품(+67.8%)・가공식품(+60.4%)・유아및애견용품(+59.6%)이 고르게 증가
 
- 특히, 전 세계적으로 ’비대면 산업‘ 분야의 육성 및 투자가 이어지면서 6대 품목의 64%를 차지하는 ICT인프라(+26.7%) 수출 증가로 실적 견인
 
* ’20. 1~6월, 6대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ICT인프라 설비) 18.0(26.7), (가공식품) 5.5(60.4), (스마트비즈니스) 1.9(24.4), (가전제품) 1.4(67.8), (유아및애견용품) 1.0(59.6), (취미오락기구) 0.5(63.2)
 
□ (평가 및 대응) 수요위축 속에서도 소비패턴 및 생활방식 변화에 따라 등장한 新유망품목은 코로나 이후에도 수출이 증가할 전망
 
ㅇ 우리 중소기업이 온라인 구매 확대 및 건강・위생에 대한 관심도 제고 등 지역별 트렌드 변화에 따른 기회를 포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강화
 
* 온라인 수출컨설팅, 글로벌 쇼핑몰 입점지원, 지역별 특성에 맞는 품목 마케팅 강화 등
 
※ (참고) 코로나19 관련 K방역 수출 현황
 
□ 의료용 방진복・라텍스 장갑・손소독제 등 국내산 방역 물품에 대한 전반적인 해외 수요가 급증하여 중소기업 수출에 크게 기여
 
ㅇ 특히, 진단키트는 수출액이 급증(1,130%)한 5.2억달러 기록하고, 수출국가수는 149개국으로 전년동기대비 20.2% 증가
 
< K-방역산업 수출액 및 증감률(단위: 천 달러, %) >
구분 ‘20.3 ‘20.4 ‘20.5 ‘20.6 ‘20.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K



세안용품 15,343 117.0 15,424 89.4 16,927 105.7 11,424 58.7 80,461 88.8
손세정제 14,418 130.9 14,712 106.5 16,031 120.9 10,674 67.6 74,882 102.8
손소독제 4,936 552.4 42,336 8,304.0 78,520 14,340.5 79,707 19,397.5 216,420 6,733.3
완제의약품(항생제) 39,514 64.7 51,187 100.7 35,185 61.3 31,129 32.0 219,940 62.4
의료용방진복 4,480 91,118.0 18,953 237,731.0 23,985 159,565.5 7,668 80,097.3 64,795 71,575.2
라텍스장갑(외과용) 3 71.7 101 7,332.7 2 △69.2 12 806.3 502 3,823.0
라텍스장갑(기타) 495 99.2 1,487 463.5 1,358 477.7 938 598.5 5,956 324.7
의료용고글 184 31.6 647 378.5 677 199.2 520 210.7 2,973 259.0
진단키트 43,942 456.1 199,961 3,033.3 135,473 1,853.9 114,446 1,540.7 514,802 1,130.4
총계 123,314 166.0 344,807 617.4 308,157 580.8 256,517 472.0 1,180,731 350.1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