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크리에이터 육성 본격 시작을 알리는 출범식 개최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20504 | 등록일 2020-06-23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96909&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6월 22일 서울 성수동의 창작자를 위한 문화공간인 코사이어티에서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슬로건으로 제1기 로컬크리에이터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번 출범식은 올해 처음 시작한 ‘로컬크리에이터 육성 정책’의 본격 시작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로컬크리에이터 간, 도시 간, 지역 간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교류의 장을 마련한다는 의미도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지역의 자연적·문화적 자산을 발굴하고 신사업과 신시장을 창출해 지역을 소중한 삶의 터전으로 만들기 위해 로컬크리에이터 발굴과 육성에 앞장서겠다”며 “로컬크리에이터의 발굴·육성과 함께 벤처투자 지원 등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이번 정책의 주요 방향으로 설정했다”고 전했다.
 
행사의 주요 내용은 로컬크리에이터의 지역 콘텐츠를 체험하고 공유하는 한편, 로컬크리에이터의 의의를 평가하고 지역 문화에 기반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토크 콘서트로 구성됐다.
 
  < 행사 개요 >  
   
? 일시/장소 : '20.6.22(월), 14:30~15:30 / 서울 성수동 코사이어티
? 참석 : 박영선 중기부 장관, 로컬크리에이터 24명 및 전문가 6명
? 주요내용 : 4개 테마의 지역 콘텐츠 체험과 토크콘서트
(창작마당) 순천 갈대 착화제, 조치원 복숭아 병조림 등 지역 기반 제조 소개
(다과마당) 제주 감귤맥주, 영주 꽃차 등 로컬푸드 시식 체험
(영상마당) 낙동강 온실하우스, 김제 나무집 등 자연 소재 스마트관광 영상 시청
(공연마당) 강원도 사투리 힙합, 신사임당 등 강릉 콘텐츠 결합 글씨예술
* 창작마당(8개), 다과마당(6개), 영상마당(8개)은 선정과제 콘텐츠로 구성
 
이번 출범식에서는 지역별·분야별* 24개의 우수팀이 자리를 함께 했다.
 
* 로컬크리에이터 7대 분야 : 지역가치, 로컬푸드, 거점브랜드, 지역기반제조, 스마트관광, 디지털문화체험, 자연친화활동
 
「로컬푸드」분야는 경북 의성의 낙차식 수경재배를 도입한 ‘젠틀파머스’, 배술(배로 만든 술)을 개발한 울산의 ‘은경농원’ 등 7개 팀이다.
 
「지역가치」분야는 동네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울의 ‘어반플레이’, 제주의 로컬 식재료 제공 매거진 ‘재주상회’와 창신동의 봉제와 디자이너를 연결하는 ‘쉐어원프로퍼티’ 등 6개 팀이 참여했다.
 
「거점브렌드」와 「지역기반제조」는 모두 5개 팀이 참여했는데 제주 해녀를 모티브로 공연과 로컬푸드를 결합한 ‘해녀의 부엌’, 남해의 양곡 저장 돌창고를 문화공간으로 재생한 ‘헤테로파티’와 순천만 갈대를 이용한 착화제를 제조하는 ‘미라클뮤지엄’이 눈길을 끌었다.

문경의 양조장을 여행 액티비티 상품으로 개발한 ‘리플레이스’와 강화 무인여행가이드를 선보인 인천의 ‘청풍’ 등「자연친화활동」과 「스마트관광」은 각각 2개 팀이 자리를 함께했다.
경북 23개 시군에 내려오는 구전을 스토리 플랫폼으로 구축한 ‘기억과 아카이브’와 IoT 등 ICT에 기반해 문화재를 디지털로 즐길 수 있도록 한 충남의 ‘캐스트유’는 문화와 디지털을 융합하는「디지털문화체험」분야를 대표해 참여했다.
 
토크콘서트에서는 박영선 장관과 심사에 참여한 각계 전문가가 함께 로컬크리에이터의 의의를 평가하고 앞으로 지역문화와 경제발전을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서의 로컬크리에이터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토론에 참여한 연세대학교 박민아 교수는 “지역문화의 주체인 로컬크리에이터는 골목상권을 활성화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지역을 대표하는 라이프스타일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다”라고 전망했으며 KBS 이영준 국장은 “고정관념을 보기 좋게 허물어준 열정적인 청년 아이디어 뱅커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했다.
 
선배기업을 대표해 참석한 관광벤처 야놀자의 송민규 실장은 “중기부 지원은 전국의 수많은 로컬크리에이터 성장의 자양분이 되었다”고 평가했고 투자자인 최승호 IFK 본부장은 “로컬크리에이터는 다른 관점에서 지역을 바라보는 새로운 윈도우(window)”라고 하면서 의미를 부여했다.
 
로컬크리에이터의 발굴과 육성에 남다른 애정을 보인 한종호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탈 물질적 가치가 소비의 우선적 기준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로컬크리에이터는 취향과 공감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간다”고 했다.
 
역량 있는 로컬크리에이터를 다수 배출한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의 전정환 센터장은 “로컬크리에이터는 지역의 자산을 발굴하고 융합해 신시장을 창출하는 스타트업으로서 지방을 훌륭한 일터이자 삶의 터전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고 평가했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로컬크리에이터 지원 규모를 대폭 확대하는 한편, 생태계 조성을 위해 데이터에 기반한 사업 전략 마련을 위한 AI·빅데이터 멘토링 도입과 각종 이벤트와의 결합과 온라인 홍보 등으로 로컬 브랜드화를 촉진하고, 로컬크리에이터 전용 펀드 조성을 통해 로컬크리에이터의 성장을 적극 지원 하겠다”고 밝혔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생태계조성과 임혜진 주무관(☎042-481-396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로컬크리에이터 출범식 개요
 
□ (기본방향) 창작자를 위한 문화공간에서 로컬크리에이터를 격려하고, 선정된 지역 콘텐츠 체험·공유
메시지 지역의 자연·문화적 자산 활용, 사업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
슬로건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 (행사개요) 6.22(월) 14:30~15:30, 코사이어티(서울 성수동)
 
ㅇ 장관, 로컬크리에이터 24명(7대 분야 3~5팀), 전문가 6명(총 31명)
 
□ (행사컨셉) 4개 테마(창작마당·다과마당·영상마당·공연마당)로 구분
하여 본행사 전에 지역 콘텐츠를 충분하게 체험
 
* 7개 분야 중 지역기반제조(창작), 로컬푸드(다과), 스마트관광(영상) 등 주요 선정과제 활용
 
 
창작마당 지역생산소재 활용 또는 지역특색을 반영한 지역
기반제조 로컬크리에이터의 창작 제품 전시
 
* 부산 사투리 화장품, 지역문화기반 출판물 등을 설명 판넬과 함께 사전네트워크 공간에 배치
다과마당 소통과 네트워크를 위해 선정된 로컬크리에이터가 제공하는 영주 꽃차·제주 맥주·김천 호두먹빵 등을 시식체험 * 네트워킹 공간에서 진행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호두빵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341pixel

프로그램 이름 : Picasa

EXIF 버전 : 0220
영상마당 지역 자연을 기반으로 한 선정과제를 중심으로 해당 지역의 풍경을 영상화

* 주행사장에 두 개 대형 스크린을 설치하여 영상시청
공연마당 강원도의 사투리 등 지역특색을 소재로 힙합공연 및 한글과 강릉문화를 기반으로 한 캘리그라피 퍼포먼스

* 주행사장에서 행사 직전 오프닝공연
* ‘공연마당’을 제외한 ‘창작마당’, ‘다과마당’, ‘영상마당’ 모두 선정과제의 제품·서비스를 활용
 
□ 세부 일정
시간 내용 비고
14:30~14:50 20' ·사전네트워크(3개 테마마당 체험)  
14:50~15:00 10' ·공연(강원지역사투리 힙합, 캘리그래피) 엘리펀디(최상아)
15:00~15:05 5’ ·개회사 장관
15:05~15:30 25’ ·토크콘서트(장관, 심사 참여 전문가 6인) 사회 :제주센터장
참고2   출범식 참여 로컬크리에이터 현황(24개팀)
 
구분 강원 경기 경남 경북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세종 울산 인천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 합계
과제 2 1 1 2 1 1 1 1 3 1 1 1 1 1 3 2 1 24
 
구분 자연친화활동 스마트관광 디지털문화체험 지역콘텐츠 지역기반제조 거점브랜드 로컬푸드 합계
과제 2 2 2 6 2 3 7 24
 
□ 현황(24개팀)
구분 지역 사진 소개
자연친화활동
(2)
경북 <㈜리플레이스>
· (분야) 자연친화활동 · (대표자) 도원우
· (아이템) “폐 산양합동양조장을 리모델링하여 지역상생의 여행플랫폼 ‘정행’ 제공”
- 1998년 폐업한 문경 산양합동양조장을 리모델링하여 마을관광자원을 재해석&패키지화한 여행액티비티 프로그램, 관광 리워드 상품 개발
강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noname0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6pixel, 세로 67pixel <재미야>
· (분야) 자연친화활동 · (대표자) 송미
· (아이템) “춘천기반 ‘그린라이프’형 로컬투어라운지 「재미야」 운영”
- 음식에 관계한 지역기반 네트워크, 지역자원을 그린라이프라고 하는 새로운 개념으로 방문객과 지역주민을 연계하는 체험형 복합 공간 운영
스마트
관광
(2)
인천 <협동조합 청풍 >
· (분야) 스마트관광 · (대표자) 유명상
· (아이템) “무인여행키트‘ + 로컬 커뮤니티 투어 + 로컬 굿즈 개발 선순환”
- 강화도 여행자의 로컬 커뮤니티 진입을 돕는 주민 여행 가이드 ‘무인여행키트’ 콘텐츠 브랜딩을 통한 홍보와 판매로 수익 창출과 로컬 경제 활성화에 기여
서울 <주식회사 사계절공정여행>
· (분야) 스마트관광 · (대표자) 백영화
· (아이템) “성동구 중심의 지역주민, 문화예술가가 함께하는 지역기반 마을여행 콘텐츠 제공”
- 소비 중심의 서울지역 관광에서 성동구의 지역콘텐츠를 활용하여 지역기반 마을여행으로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여행자 중심의 신규 컨텐츠(관광자원 개발, 도서발간, 오디오북 및 웹 기사 연재) 발굴 및 제작
디지털문화체험
(2)
경북 <기억과아카이브 >
· (분야) 디지털문화체험 · (대표자) 강구민
· (아이템) “경북 로컬이야기자원 통합플랫폼 Story Factory”
- 경북 23개 시군구에 켜켜이 쌓인 구술 이야기 자원(휴먼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이야기 영상, 오디오 청취 기능 및 커뮤니티 맵핑 기능을 탑재한 Story 플랫폼 구축
충남 <㈜캐스트유>
· (분야) 디지털문화체험 · (대표자) 진세한
· (아이템) “디지털 문화유산을 활용한 오감만족 프로젝터와 IOT 소프트웨어개발 ”
- 한국의 문화유산 오감형 솔루션, 문화재와 기술 ICT테크의 융복합을 통해 지역에 지속적인 재방문율을 높이고, 문화재를 즐길 수 있는 솔루션 제공
지역가치
(6)
서울 <주식회사 어반플레이> ※투자연계형
· (분야) 지역콘텐츠 · (대표자) 홍주석
· (아이템) “동네 매니지먼트 서비스 ”쉐어빌리지“
- 노후화로 인해 새로운 공간재생이 필요한 지역·공간을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하는 로컬크리에이터와 연결하여 새로운 공간 구성
제주 <주식회사 콘텐츠그룹재주상회> ※투자연계형
· (분야) 지역콘텐츠 · (대표자) 고선영
· (아이템) “제주 로컬식재료를 부록으로 제공하는 로컬 매거진 iiin[인]”
- 제주 기반의 로컬 매거진 iiin[인] 독자에게 제주의 시즌 식재료와 1차 가공식품을 부록으로 배송하여 로컬 생산자와 상생하는 정기구독서비스
경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c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3pixel, 세로 504pixel <빌드 주식회사> ※ 투자연계형
· (분야) 지역콘텐츠 · (대표자) 우영승
· (아이템) “포구기능을 상실한 시흥 월곶포구 내 생산과 소비 촉진”
- 공실률이 35%가 넘는 월곶지역의 공간을 활용한 오프라인 공간(월곶식탁 등) 및 도농복합도시인 시흥시의 지역농가 연계 지역 내 생산과 소비를 촉진
전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1458313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00pixel, 세로 1334pixel <방랑싸롱>
· (분야) 지역콘텐츠 · (대표자) 장재영
· (아이템) 로컬 블랜더 : “유휴 공간 + 쇼미더순창(할미넴) 등 콘텐츠 + 농촌 활성화 프로젝트
- 전 세계 60여 개국을 다녀본 여행 전문가의 눈으로 순창지역의 공간, 공연, 사람 등 순창관련 콘텐츠를 시작으로 도시를 재 브랜딩하는 지역개발 지향
충북 <비로컬 주식회사>
· (분야) 지역콘텐츠 · (대표자) 김혁주
· (아이템) “로컬크리에이터 팀빌딩 플랫폼”
- 로컬크리에이터의 지속가능성과 협업화를 위한 플랫폼을 조성하고, 플랫폼을 통해 로컬크리에이터에게 맞춤형 비즈니스 형태를 제안하고 육성
서울 <주식회사 쉐어원프로퍼티> ※투자연계형
· (분야) 지역콘텐츠 · (대표자) 이상욱
· (아이템) “창신동을 중심으로 지역패션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 창신아지트”
- 전 세계 유일의 패션봉제산업 집적지인 창신동을 중심으로 지역 패션봉제제작자와 서울의 신진디자이너들의 협업공간, 쇼룸 등 운영
지역기반제조
(2)
강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cc001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5pixel, 세로 185pixel <주식회사 더웨이브컴퍼니> ※ 투자연계형
· (분야) 지역기반제조 · (대표자) 김지우
· (아이템) “강원의 로컬 라이프스타일을 즐길 수 있는 굿즈 제공”
- 라이프스타일에 관심이 많은 밀레니얼 세대(2030)에게 강원의 라이프스타일을 전달하고 지역성을 느낄 수 있는 굿즈 제공 등
전남 <㈜미라클뮤지엄>
· (분야) 지역기반제조 · (대표자) 이경란
· (아이템) “순천만 갈대 착화제”
- 순천만에서 해마다 버려지는 갈대 업사이클 → 갈대 착화제 제조
- 밴라이프족/가캠족 등 캠퍼 비율 상승으로 업사이클 상품 개발로 시장 활성화
거점브랜드
(3)
제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해녀마크.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12pixel, 세로 122pixel
<주식회사 해녀의부엌> ※투자연계형
· (분야) 거점브랜드 · (대표자) 김하원
· (아이템) “해녀 공간 + 해녀 콘텐츠 + 로컬푸드(해산물) 융복합 체험”
- 해녀관련 공간체험 및 공연, 제주 해산물 판매 등 제주 해녀관련 융복합 콘텐츠 제공하여 해녀의 전통성 보전 및 제주 해산물 가치 전달
경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2c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2pixel, 세로 185pixel <헤테로토피아>
· (분야) 거점브랜드 · (대표자) 최승용
· (아이템) “남해군 유휴공간 돌창고 + 재생 + 지역색이 묻어나는 예술적 체험”
- 남해군의 양곡을 저장하기 위해 활용하던 돌창고를 문화공간으로 재생하여 젊은 층이 향유가능한 문화 인프라(뮤지엄, 카페, 도자기 공방 등) 구축
광주 <러브앤프리>
· (분야) 거점브랜드 · (대표자) 윤샛별
· (아이템) “지역을 연결하는 인문 프로그램 독립출판서점 운영, 독립출판물 제작”
- 지역과 청년, 주민들과 책을 매개로 한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독립출판서점을 통해 지역에 제공
- 지역 독립출판물을 제작하고 유통함으로써 지역의 독립작가를 발굴·육성
로컬푸드
(7)
경북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젠틀파머스> ※ 투자연계형
· (분야) 로컬푸드 · (대표자) 김재덕
· (아이템) “소멸위험지역 1위인 의성군 내 빈 공장을 활용한 수직농장(스마트팜)”
- 의성군 내 빈공장을 활용하여 ‘낙차식 수경재배’를 통한 새싹 재배와 전직 항해사의 귀촌스토리 제공(SNS)을 통한 의성지역 경제활성화
부산 <알티비피얼라이언스(주)> ※투자연계형
· (분야) 로컬푸드 · (대표자) 김철우
· (아이템) “영도 할매 전설을 스토리텔링하는 지역주 ‘절영’ 제공 및 체험
- 도시재생 대상지인 ‘봉산마을(부산 영도)’내에서 영도의 전설을 담은 지역주 ‘절영’을 개발하여 맛과 재미를 동시에 지역주 제공 및 문화체험
제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주맥주마크.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7pixel, 세로 56pixel < 제주맥주> ※투자연계형
· (분야) 로컬푸드 · (대표자) 문혁기
· (아이템) “제주맥주 + 복합 문화 양조장” 제주 맥주와 문화 체험
- 제주맥주 양조장 투어 및 제주맥주 체험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 운영
- 제주의 주산물(감귤 등)과 제주 천연 화산암반수를 활용한 제주맥주 제작
세종 <농업회사법인 새뜸 주식회사>
· (분야) 로컬푸드 · (대표자) 문성윤
· (아이템) “전통의 조치원 복숭아중 B급 복숭아를 활용한 병조림 개발”
- B급 복숭아를 이용한 병조림 개발과 병조림 특성상의 고질적 문제인 갈변문제 및 보존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자체 개발 제품 용기 접목
대전 <으능정이부루어리>
· (분야) 로컬푸드 · (대표자) 민재명
· (아이템) “대전 특산품을 활용한 대전만의 전통주 제조로 지역경제 활성화”
- 은행으로 만든 으능정이 막걸리, 성심당 호밀빵 부스러기로
크바스 맥주 개발
- 스마트팜을 이용한 새싹인삼 재배 및 새싹 인삼주 개발
대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7be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2pixel, 세로 439pixe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희망토 >
· (분야) 로컬푸드 · (대표자) 서종효
· (아이템)“도심속 농촌지역인, 대구 수성구 시지지역을 활용한 스마트 주말 농장”
- 거주지역과 농업지역이 상존하는 지역성을 기반으로 노지 주말농장의 한계를 넘어선 365일 수확이 가능한 스마트 주말농장 운영
울산 <은경농원 >
· (분야) 로컬푸드 · (대표자) 황찬우
· (아이템) “울산 배를 활용한 수제 과실주 제작 및 유통사업”
- 울산 배를 100% 사용한 발포 배 술을 지역 대표 특산주로 개발하여 배 농가 소득 확대 및 양조장 일원을 ‘체험형 관광자원’으로 개발하여 지역 관광수요 확대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