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중소기업 수출, 1,118억달러 기록(△2.3%)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808 | 등록일 2024-01-31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3082&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2023년 중소기업 수출동향(잠정치)?을 발표했다.
 
중소기업 수출액 및 수출기업 분포
 
2023년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대비 2.3% 감소한 1,118억달러로, ’21년 1,100억달러를 최초로 돌파한 이후 3년 연속 1,100억달러 수출실적*을 유지하였다.
 
* 중소기업 수출액(억달러) : (‘21)1,155(+14.7%)→(‘22)1,145(△0.9%)→(‘23)1,118(2.3%)
 
’22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수출감소 추세가 ’23년 상반기로 이어졌으나, ’23년 8월부터 전년대비 증가추세로 전환*하여 하반기 수출이 반등**하였으며 전체 중소기업 수출 감소폭이 완화되었다.
 
* 중소기업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분기별 월평균) : ‘23.1Q91(△8.0)→2Q95(△3.5)→
7월90(△5.5)→890(+0.6)994(+1.8)1091(+2.7)1199(+10.6)1298(1.2)
 
** ’23년 반기 수출액 증가율(전년동기대비 %) : (상반기)△5.8, (하반기)+1.4
 
수출 중소기업 수는 94,635개사로 전년(92,448개사) 대비 소폭(+2.4%) 증가하였으며, 신규 수출기업수는 전년대비 6.0% 증가, 수출 중단기업은 1.9% 감소하는 등 중소기업의 수출지표가 개선되었다.
 
중소기업 수출 품목별·국가별 특징
 
<주요 수출품목>
 
중소기업 수출품목 중 화장품, 자동차, 플라스틱제품, 자동차부품 등이 높은 수출실적을 기록하였다. 중소기업 전체 수출액 중 상위 10대 품목 집중도는 33.0%로 총수출 10대 품목 집중도(57.5%) 대비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수출액 상위 10대 품목 중 1위인 화장품(+20.2%)과 2위인 자동차(+57.4%)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며, 자동차부품, 기타기계류, 전자응용기기, 기계요소 수출이 호조세를 보였다.
 
【 총 수출 10대 품목 (억달러, %) 】 【 중기(中企) 수출 10대 품목 (억달러, %) 】
구 분 수출액 비중 증감률 구 분 수출액 비중 증감률
1 반도체 986 15.6 △23.7 1 화장품 54 4.8 20.2
2 자동차 709 11.2 31.1 2 자동차 49 4.4 57.4
3 석유제품 520 8.2 △17.2 3 플라스틱제품 48 4.3 △4.8
4 자동차부품 230 3.6 △1.5 4 자동차부품 45 4.0 8.1
5 합성수지 229 3.6 △18.3 5 반도체제조용장비 34 3.1 △9.2
6 선박해양구조물및부품 218 3.5 20.1 6 합성수지 34 3.0 △15.3
7 철강판 207 3.3 △7.5 7 기타기계류 30 2.7 6.5
8 정밀화학원료 191 3.0 1.7 8 전자응용기기 26 2.3 6.4
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87 3.0 △12.0 9 반도체 26 2.3 △9.3
10 무선통신기기 155 2.4 △10.2 10 기계요소 24 2.1 2.5
상위 10대 3,634 57.5 △8.1 상위 10대 369 33.0 5.6
전 체 6,324 100.0 △7.5 전체 1,118 100.0 △2.3
 
주요 수출 증가 품목의 증가요인을 분석하면, 자동차 수출의 경우 전쟁으로 인한 러시아의 자동차 생산 중단 등에 따라 러시아 주변국인 키르기스스탄(315.0%), 카자흐스탄(+21.4%)의 중고차 수요가 증가한 점이 주요 원인이며, 리비아(+120.1%) 등 중동지역 중고차 수출도 증가세를 보였다.
 
화장품의 경우 중국으로 수출이 감소(△14.4%)하였으나, 미국(+47.2%), 일본(+12.9%), 베트남(+28.6%) 등으로 수출국이 다변화되어 중소기업의 화장품 수출액은 연간 기준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하였다.
 
자동차부품의 경우 완성차 시장 호황에 따라 미국(+7.0%), 멕시코(+18.4%), 일본(+9.9%) 등 자동차 공장이 위치한 국가로의 수출이 확대되었다.
<주요 수출국>
 
중소기업 수출액 상위 10대 국가 순위는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 인도 순으로 집계됐으며, 미국, 러시아, 멕시코 3개국 수출액이 증가했다.
【 중소기업 수출 10대 국가(단위 : 억달러, %) 】
 
구분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 인도 러시아 홍콩 대만 멕시코 인니
수출액
(억달러)
192 171 104 100 31.8 30.9 28.3 27.4 26.9 26.1
수출증감
(억달러)
-22.6 8.5 -6.3 -7.3 -0.7 4.0 -1.2 -7.1 1.5 -1.7
수출증감률
(%)
△10.5 5.2 △5.7 △6.8 △2.0 14.7 △4.2 △20.6 5.9 △6.0
 
미국의 경우 자동차부품, 화장품, 기타기계류 등 주요 품목의 수출 증가로 ’23년 기준 전체 수출국 중 가장 많은 수출액 증가(+8.5억달러)를 기록했다. 러시아의 경우 화장품, 자동차부품의 수출이 증가세를 견인했으며, 멕시코의 경우 현지 자동차 공장의 생산 확대로 인해 자동차부품의 수요가 확대돼 수출이 증가한 점이 특징이다.
 
중소기업 수출액 상위 10대 국가 외에도 중동(+6.6%, +3.6억달러), 유럽연합(EU)(+4.3%, +6.9억달러)에서의 중소기업 수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
 
’23년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액은 7.6억달러로 전년대비 11.3% 증가했다. 국내 온라인 총 수출액 9.9억달러 중 중소기업 비중은 76.5%로 중소기업이 온라인 수출 분야를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수출 주요 품목으로는 1위화장품(31.6%)과 아이돌 팬 상품(굿즈) 등이 포함된 3위문구 및 완구(135.3%) 등이 강한 증가세를 보였다.
 
온라인 수출 중소기업의 수는 4,116개사(+8.2%)로 전년대비 312개사가 증가하며 성장세를 지속했다.
 
【 온라인 수출 상위 5대 품목(백만달러, %) 】 【 온라인 수출 상위 5대 국가(백만달러, %) 】
 
구분 ‘22년 ‘23년 증감률
화장품 242.7 319.3 31.6
의류 91.7 75.1 △18.1
문구 및 완구 23.0 54.0 135.3
컴퓨터 46.7 53.5 14.7
음향기기 68.3 42.5 △37.7
주요품목 소계 472.3 544.4 15.3
온라인수출액 682.0 759.1 11.3
 
구분 ‘22년 ‘23년 증감률
미국 230.7 296.2 28.4
일본 195.4 161.9 △17.2
중국 112.6 121.9 8.3
키르기스스탄 12.8 20.7 61.2
싱가포르 19.2 16.3 △15.3
주요국가 소계 570.8 617.0 8.1
온라인수출액 682.0 759.1 11.3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글로벌성장정책관은 “2023년 중소기업 수출은 중국의 경기침체, 고물가에 따른 긴축재정 기조 등 불안정한 대외환경으로 전년대비 감소하였으나, 중소기업의 수출국 다변화, 수출 중소기업 개수의 증가 등 긍정적인 부분이 있었다”며,
 
“2023년 하반기부터 이어지는 수출 증가추세를 2024년에도 이어갈 수 있도록 중소기업 수출을 총력 지원하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