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 장관, 투자형R&D(스케일업팁스) 운영사-지원기업과의 간담회 참석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1857 | 등록일 2022-04-21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04132&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권칠승 장관은 4월 20일(수)에 역삼 팁스타운(마루180)에서 투자형R&D(스케일업팁스*) 운영사 및 지원기업 관계자와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 (참고1)
 
* 스케일업 팁스 (TIPS : Tech Investor Program for Scale-up)
: 스타트업 팁스 (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와는 구분되는 개념으로, 하이테크·제조분야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의 스케일업을 지원하는 새로운 제도
 
  <간담회 개요>  
   
 
· [일시 · 장소] ‘22.4.20(수) 10:00~11:20 / 마루180 (역삼 팁스타운)
 
· [참석대상] 중기부 장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 투자형R&D(스케일업팁스) 운영사 및 지원기업 관계자, 관리기관* 관계자 등 15명 내외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벤처투자, 한국벤처캐피탈협회
 
· [주제] 투자형R&D(스케일업 팁스) 활성화를 위한 애로사항 청취 및 정책방향 논의
 
이번 간담회는 작년 8월 말에 발표했던 ‘투자형기술개발(R&D) 확대방안’ 이후 추진 실적을 점검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들으며 향후 정책방향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투자형R&D’는 기존 출연방식 기술개발(R&D)과 달리 투자시장과 연계해, 벤처캐피탈(VC)이 선투자하면 정부가 후매칭투자로 지원하는 시장친화적인 기술개발(R&D) 지원방식이다. : (참고2)
 
’20년 7월에 신설된 투자형R&D는 지원예산*이 단계적으로 확대됐고, 올해 3월 기준으로 그간 유망 중소벤처기업 35개사에 대해 455억원 규모의 매칭투자를 진행했다.
 
* 투자형 R&D 예산(억원, 신규) : (‘20) 165 → (’21) 335 → (’22) 1,000(목표)
 
또한, 중기부는 투자형R&D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작년 8월에 팁스방식*을 적용한 ‘운영사** 전용트랙(스케일업팁스)’을 신설한 바 있으며,
 
* 민간이 선투자하면, 정부가 후지원하는 방식
** 해당 운영사는 ‘벤처캐피탈(VC)+연구개발전문회사’로 구성된 연합체(컨소시엄)로, 투자재원과 기술개발(R&D)지원 전문역량을 보유하고, 투자(10억원 이상)를 통해 유망기업을 정부에 추천하는 역할을 수행(운영사 5개 선정, ’21.11월)
: 운영사에는 사업권(3년단위)을 부여해 전문성 축적, 경쟁·협력 촉진(TIPS 방식 적용)
 
올해 1월에는 해당 전용분야(트랙)를 통해 유망 중소벤처 5개사를 처음으로 선정해 연결투자(매칭투자)하기도 했다.
 
권칠승 장관은 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투자형R&D(스케일업팁스) 운영사와 참여기업을 격려했다.
 
이후에는 투자형R&D(스케일업팁스) 운영사 및 지원기업이 현장 애로사항을 공유하며,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이 이어졌다.
 
또한, 전세계시장(글로벌시장) 진출 프로그램 등 후속 지원,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부여할 수 있는 외부전문가 범위의 확대, 연결투자(매칭투자) 한도 상향 등 다양한 건의와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토의가 진행됐다.
권칠승 장관은 “투자형R&D 운영사 및 지원기업 관계자분들의 현장 이야기와 제언을 듣고 같이 고민하는 유익한 자리였다”며,
 
“투자형R&D 제도를 통해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들이 도전과 혁신을 거듭하고 성장하는 ‘투자기반 기술개발(R&D) 혁신 생태계’가 활성화되길 바라고
 
앞으로도 중기부는 시장친화적 기술개발(R&D) 지원을 통해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더 많이 소통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정책과 윤도현 사무관(☎ 044-204-774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투자형R&D(스케일업팁스) 간담회 개요
 
□ 추진배경
 
? ‘투자형 R&D 확대방안(’21.8.31)’ 이후 그간 추진 실적을 점검하고, 활성화를 위해 현장 애로사항 청취 및 정책방향 논의
 
□ 간담회 개요
 
? (일시/장소) ’22.4.20(수) 10:00~11:20(80분)/역삼 팁스타운(마루 180)
 
? (참석자) 중기부 장관, 기술혁신정책관, 운영사 및 지원기업, 관리기관* 등 총 15명 내외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벤처투자, 한국벤처캐피탈협회
 
? (주요내용)
 
- 투자형R&D(스케일업팁스) 그간 추진현황 및 실적 공유
 
- 운영사 및 지원기업 현장 애로사항 청취 및 향후 정책제언
 
< 참석 운영사 및 지원기업 >
구분 회사명 비 고
선정기업 지브레인 뇌 수술 의료기기
에임트 친환경 진공단열소재
휴넷플러스 OLED, 반도체 소재
아이엠지티 초음파영상유도치료기술
메디밸류 바이오·의료 소재
운영사 컨소시엄
(VC+연구개발전문회사)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연구개발전문회사
이노폴리스파트너스 VC
인라이트벤처스 VC
기술과가치 연구개발전문회사
L&S벤처캐피탈 VC
 
□ 세부일정
 
시 간 주 요 내 용 비 고
10:00~10:05 (5‘) ? 참석자 소개  
10:05~10:08 (3‘) ? 인사말씀 장관
10:08~10:15 (7‘) ? 투자형 R&D(스케일업팁스) 개요 및 운영실적  
10:15~10:35 (20‘) ? 운영사, 지원기업 소개 (제품시연 등)  
10:35~11:15 (40‘) ? 간담회(애로사항 현장건의·답변 등) 운영사, 지원기업
11:15~11:20 (5‘) ? 마무리  
참고2   투자형R&D(스케일업팁스) 개요
 
□ (지원목적) 기술역량을 보유한 하이테크 중소벤처가 고위험·혁신형 R&D에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도록 투자방식으로 R&D 지원(’20.7~)
 
□ (지원대상) 소재·부품·장비(강소기업100 포함), 비대면, 그린, BIG3(미래차·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 D.N.A(Data·Network·AI) 분야 유망 중소벤처
 
□ (지원예산) (’20) 165 → (’21) 500 → (’22) 1,000억원 (목표)
 
□ (지원내용) 민간 VC의 기업선별 및 보육역량, 자본력을 활용하여 先민간투자(벤처캐피탈), 後정부(모태펀드) 매칭투자 방식으로 지원
 
? VC가 투자한 방식과 동일한 조건으로 신주, CB, BW 매칭투자
 
* 최대 1배수, 20억원 매칭투자(강소기업100의 경우 최대 2배수, 30억원까지 가능)

 
? 스케일업 단계 기업에 집중하여 운영사의 투자와 추천을 거쳐
?투자형 R&D와 ?투자연계형 R&D 병행 지원
 
< 병행지원 내용 >
사업 ?투자형 R&D ?투자연계형 R&D
개요 · 운영사가 투자 확약을 거쳐 추천한 유망기업에 매칭하여 R&D 투자 지원 · 운영사가 투자 확약을 거쳐 추천한 유망기업에 매칭하여 R&D 출연 지원
재원 · 모태펀드 · 연구개발 출연금
(기술혁신R&D, 시장확대형 내역사업)
지원
방식
운영사 先 투자(10억원 이상)
+
모태펀드 매칭 투자(최대 20억 원*)
 
※ 소부장 강소기업100의 경우 최대 30억원
운영사 先 투자(10억원 이상)
+
R&D 자금 지원(최대 2년, 6억 원*)
 
※ 사업연계형 R&D 프로그램 통해 최대 4년, 12억원 지원
□ (지원실적) 35개사, 455억원 매칭 투자 (’22.3월 기준)
 
? 업종별로 소부장, 전자?기기 등 하드웨어?제조 분야가 49%, 업력 7년이상 기업 36%, 수도권 기업 82%
 
< 투자형 R&D 지원 현황 >
구분 업종별 업력별 지역별
소부장 전자
기기
S/W 바이오 3년 3~7년 7년~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충남
대구 부산
건수(개) 15 4 12 8 10 14 14 20 10 2 4 2 1
금액(억원) 180 22 128 125 95 187 173 237 123 30 30 30 5
주 요
사 례
  ?(플로트론) : ’09년 창업, 와류(Vortex) 유량계, 유량 계측 및 검증 시스템, ‘19년 소부장 강소기업 100 선정, ’20년 50억원 투자 유치(포스코기술투자) 및 투자형 R&D 30억원 매칭 투자
 
 
□ (스케일업 팁스) : 투자형R&D 운영사 방식 전용트랙 (TIPS방식 적용)
 
? 운영사* 先 투자(10억원 이상)로 추천된 스케일업 단계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제조 하드웨어에 집중)에 정부가 매칭투자·R&D 지원
 
* VC와 연구개발전문회사로 구성된 컨소시엄으로 투자재원을 보유하고, 전문인력 및 지원역량을 갖추어 스케일업 단계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선별해 매칭투자를 육성함
 
- 사업권(3년단위)을 부여해 전문성 축적, 경쟁·협력 촉진(팁스 방식 적용)
 
* 스케일업 팁스 (TIPS : Tech Investor Program for Scale-up)
: 스타트업 팁스 (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와 구분됨
 
 
< 스케일업 TIPS 운영사 1기 선정 현황 (‘22.4월 기준) >
No. 운영사 컨소시엄
투자부문(VC) R&D부문(연구개발전문회사)
1 이노폴리스파트너스
한국과학기술지주
한국자동차연구원
2 인라이트벤처스
인탑스인베스트먼트
인비전아이피컨설팅
대경지역대학공동기술지주
3 엘앤에스벤처캐피탈
에트리홀딩스
오송첨단의료
산업진흥재단
이디리서치
4 케이그라운드벤처스
DSC인베스트먼트
기술과가치
5 위벤처스 유한회사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