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매출, 10주 연속 회복세 이어가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20186 | 등록일 2020-06-19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96381&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가 2월 3일부터 매주 실시하고 있는 ‘소상공인 매출액 조사’(20차, 6월 15일)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소상공인·전통시장 매출 감소폭이 4월 초 반등한 이후 10주 연속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소상공인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코로나19 발생 이전(평소) 대비 소상공인 매출액 감소 비율 >
(단위 : %)
조사일 3.23 3.30 4. 6 4.13 4.20 4.27 5.4 5.11 5.18 5.25 6.1 6.8 6.15
소상공인 66.8 66.9 69.2 65.4 64.5 56.7 55.0 54.6 51.3 45.3 38.7 32.0 31.6
전통시장 65.8 65.5 65.0 65.4 61.1 55.8 56.4 52.6 51.6 39.6 32.5 27.1 26.5
* 질문내용 : 평소(코로나19 확산 상황 이전) 대비 매출액 변화가 어떻게 되는지
 
특히, 대전・충청(△5.9%p, 29.1%→23.2%) 및 강원(△5.4%p, 30.8%→25.4%) 지역은 지난주에 이어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광주・호남(△1.1%p, 32.4%→31.3%) 및 대구・경북(△0.5%p, 22.2%→21.7%)지역도 회복세를 이어갔다.
 
다만, 최근 신규발생 확진자 수가 많은 수도권은 회복세가 다소 주춤하는 모습이다. 서울은 7.0%p(33.0%→40.0%), 경기・인천은 1.7%p( 39.5%→41.2%) 수준으로 지난주에 비해 매출액 감소폭이 늘어났다.
 
< 코로나19 발생 전 대비 소상공인 매출액 감소 비율(지역별) >
(단위 : %)
지역 20주차(금주) 19주차(전주) 전주대비
(%p)
18주차
(6.1)
17주차
(5.25)
경기·인천 41.2 39.5 1.7 44.9 43.3
서울 40.0 33.0 7.0 38.6 42.9
제주 38.7 38.8 △0.1 40.0 38.9
부·울·경 31.9 31.6 0.3 32.0 43.6
광주·호남 31.3 32.4 △1.1 39.0 47.4
강원 25.4 30.8 △5.4 35.9 35.0
대전·충청 23.2 29.1 △5.9 35.6 43.5
대구·경북 21.7 22.2 △0.5 43.3 62.1
 
업종별로는 교육서비스(△5.1%p, 46.3%→41.2%), 음식점(△1.3%p, 28.7%→27.4%)이 지난주의 회복세를 이어 간 반면, 농・축・수산물(2.3%p, 22.7%→25.0%), 의류・신발・화장품(1.8%p, 25.4%→27.2%)은 매출액 감소폭이 지난주에 비해 늘어났다.
 
< 코로나19 발생 전 대비 소상공인 매출액 감소 비율(업종별) >
(단위 : %)
업종 20주차(금주) 19주차(전주) 전주대비
(%p)
18주차
(6.1)
17주차
(5.25)
관광·여가·숙박 50.7 51.1 △0.4 65.8 63.9
교육서비스 41.2 46.3 △5.1 48.4 62.5
가공식품 및 종합소매 29.8 30.0 △0.2 34.9 42.9
음식점 27.4 28.7 △1.3 34.8 37.9
의류·신발·화장품 27.2 25.4 1.8 31.8 48.3
농·축·수산물 25.0 22.7 2.3 30.6 34.6
 
한편, 소상공인들이 코로나19 안정화 이후 정부에 요청하는 사항으로, 홍보·마케팅비 지원 29.9%, 소상공인전용상품권 확대 20.7%, 지역축제 등 공동이벤트 확대 16.6%, 온라인 판매지원 9.2% 순으로 나타났다.
 
중기부는 소상공인 정책수립과 현장애로 파악을 위해 지난 2월 3일부터 매주 소상공인 사업장 300개, 전통시장 220개 내외를 대상으로 코로나 확산 이전 대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매출액 변화를 패널서베이 방식으로 조사하고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소상공인 매출이 지난 10주간 연속 회복세를 보인 것은, 최근 긴급재난지원금과 온누리상품권・지역사랑상품권 등이 사용되면서 소비가 회복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하면서,
 
“앞으로 6월 23일부터 7월 12일까지 전국에서 진행되는 ‘최초의 비대면 중심 한국형 대규모 할인판매 행사’인 「대한민국 동행세일」을 시작으로 전국적인 소비 붐을 조성하는 등 소상공인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는 대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과 송제훈 사무관(☎ 042-481-459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상공인 매출액 조사 결과(20차)
 
1. 조사 개요
 
ㅇ 조사기간/기관 : ‘20. 6. 15일(월) (1일간) /중기부·소진공
 
ㅇ 조사대상 : 소상공인 사업체(300개* 내외) 및 전통시장(220개 내외)
 
* ① 농·축·수산물 도소매, ② 가공식품 및 종합소매, ③ 관광·여가·숙박업, ④ 음식점업, ⑤ 의류·신발·화장품, ⑥ 교육서비스 6개 업종
 
ㅇ 조사방법 : 설문조사(전화조사), 패널조사 방식
 
* 코로나19 확산 상황 이전 대비 매출액 변화
 
2. 매출액 감소 : 소상공인 31.6%(前주 32.0%), 전통시장 26.5%(前주 27.1%)
 
① 소상공인(지역별)
지역 20주차(금주) 19주차(전주) 전주
대비
경기·인천 41.2 39.5 1.7
서울 40.0 33.0 7.0
제주 38.7 38.8 △0.1
부·울·경 31.9 31.6 0.3
광주·호남 31.3 32.4 △1.1
강원 25.4 30.8 △5.4
대전·충청 23.2 29.1 △5.9
대구·경북 21.7 22.2 △0.5
 
- 소상공인(업종별)
업종 20주차(금주) 19주차(전주) 전주
대비
관광·여가·숙박 50.7 51.1 △0.4
교육서비스 41.2 46.3 △5.1
가공식품 및 종합소매 29.8 30.0 △0.2
음식점 27.4 28.7 △1.3
의류·신발·화장품 27.2 25.4 1.8
농·축·수산물 25.0 22.7 2.3
 
② 전통시장(지역별)
지역 20주차(금주) 19주차(전주) 전주
대비
제주 38.5 38.6 △0.1
경기·인천 35.7 34.1 1.6
부·울·경 30.5 33.2 △2.7
서울 26.5 25.4 1.1
광주·호남 25.4 28.0 △2.6
대전·충청 22.5 22.8 △0.3
대구·경북 18.8 17.9 0.9
강원 18.0 23.0 △5.0
 
 
3. 자체 극복노력
 
① (소상공인) 세일·이벤트 등 마케팅 강화(44.6%), 배달판매(14.8%), 온라인 판매(11.8%)
 
② (전통시장) 세일·이벤트 등 마케팅 강화(47.0%), 배달판매(14.9%), 온라인 판매(7.9%)
 
4. 코로나19 안정화 이후 정부지원 요청사항
 
 
① (소상공인) 홍보·마케팅비 지원(29.9%), 소상공인전용상품권 확대(20.7%), 지역축제 등 공동이벤트 확대(16.6%), 온라인 판매지원(9.2%), 복수응답
 
② (전통시장) 홍보·마케팅비 지원(36.7%), 소상공인전용상품권 확대(36.3%), 지역축제 등 공동이벤트 확대(26.0%), 온라인 판매지원(7.0%), 복수응답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