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상인의 생생한 현장 목소리에 오영주 장관이 답하다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133 | 등록일 2024-05-24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2172&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23일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 청년몰에서 제5차 소상공인 우문현답 정책협의회를 개최하여 청년 시장상인 및 소상공인 등과 함께 ‘전통시장·골목시장 활성화’를 주제로 현장의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앞으로 정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깊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경동시장은 1960년 설립되어 올해로 64년된 전통시장으로서, 대기업과의 활발한 상생활동을 통해 2018년 노브랜드를 시작으로 2022년 LG의 이색경험공간인 ‘금성전파사’와 경동극장을 재단장(리모델링)한 스타벅스 교류공간(커뮤니티) 상점(스토어)이 입점하고, 청년몰의 ‘1960 야시장’ 등이 지역 명소가 되면서 젊은 세대들이 자주 찾고 있다.
 
오늘로 5회차를 맞이한「소상공인 우문현답 정책협의회」는 오영주 장관이 후보자 시절부터 약속해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으로 취임 직후 새롭게 만든 소상공인 소통 시스템(플랫폼)으로, 현장을 직접 방문해 소상공인들이 생업 과정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 등을 듣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앞으로의 정책방향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자리이다.
 
앞서 4번에 걸친 정책협의회 결과 총 45건의 애로·건의사항을 받았으며, 이중 17건은 현장에서 즉시 해결하였다. 13건은 내부검토를 거쳐 사업을 개선하거나 확대할 계획이며, 타 부처 협업이나 입법이 필요한 15건 과제는 관계부처에 업계의견을 전달하고 규제개선을 논의하는 등 소상공인의 애로가 해결될 때까지 추진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한다.
오늘 5차 정책협의회는 민생의 밑바탕이자 지역경제의 중추인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주제로 삼았다. 전국에 분포한 1,388개 전통시장과 3,540개 지역상권 등에서 활동 중인 소상공인은 전체 종사자의 45.8%, 매출액의 18.1%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비수도권에서는 종사자의 54.6%, 매출액의 28.0%를 소상공인이 담당하고 있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이 명실상부한 지역경제의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업승계 등을 통해 청년이 전통시장의 활력소 역할을 하거나, 지역의 고유한 자원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더해 혁신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지역가치창출가(로컬크리에이터)가 등장하며 자생적인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이에 현장에서 우수사례를 창출하고 있는 청년 시장상인과 소상공인의 목소리를 경청하고자 하는 5차 정책협의회는 이전 정책협의회에 비해 참석자 규모를 2배로 대폭 확대하고, 그 절반을 청년으로 구성하였다.
 
이날 정책협의회는 ‘경청’을 신조(모토)로 하여 1부 전통시장, 2부 골목상권으로 주제를 나누어 우수사례를 다함께 청취하고 전통시장과 지역상권의 활력 회복을 위한 정책방향을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지은 육거리소문난만두 대표는 단골손님이었으나 가게를 승계해 3대째 대표가 된 후 판로를 다각화하고 제로슈거만두를 개발하는 등 최근의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성장을 모색하는 과정을 발표했고, 이탈리돈가스 최인종 대표는 10년간의 요리경력을 기반으로 안산 신안코아 청년몰에 입점한 뒤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맛집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경험을 소개했다.
 
상권 활성화 우수사례로는 쇠퇴한 상권이던 창원 중동의 골목을 창원읍성의 옛터이자 ‘고향의 봄’ 동요 배경라는 역사적 배경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카페와 퓨전한식 식당(레스토랑) 등 새로운 콘텐츠로 채워 지역명소로 발돋움한 ‘소리단길 사업(프로젝트)’와 공주산성시장을 중심으로 한 상권구역을 기존 소상공인과 청년 지역가치창출가(로컬크리에이터)들이 합심하여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로 가득 채우고 인근 상권까지 연계하여 공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공주산성상권 활성화 사업’의 성과를 공유하였다.
 
자유토론 시간에는 전통시장 내 청년 상인의 유입과 성장을 촉진하는 방안, 골목상권 육성을 위한 정부-지자체-민간 협업 방안 등 활발한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해 폭넓은 논의를 이어갔다.
참석자들은 청년 소상공인들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삶의 터전으로 삼아 큰 애정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중기부의 체계적인 지원을 요청하였으며, 상권 내에 민간의 자발적인 상권 활성화 활동을 뒷받침할 거점 역할을 할 기업 등 기반시설(인프라)이 미비한 경우 정부와 지자체가 어떻게 민간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을지, 각자의 역할에 대해 의견을 주고 받았다.
 
또한, 청년 소상공인들이 모두 모여 우수제품을 전시하고 상호간의 교류·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전국 규모의 축제를 개최할 것을 요청하자 오영주 장관은 6월 중 청년 소상공인만을 위한 축제를 계획 중이라고 화답하였다.
 
오영주 장관은 “중소벤처기업부는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에 새로운 혁신과 활력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청년 소상공인 등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추진 중인 자발적인 상권 활성화 활동을 촉진하고, 우수사례가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청년상인 가업승계 프로그램,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세계인이 찾아오는 상권(글로컬 상권) 사업(프로젝트) 등으로 탄탄히 뒷받침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사람들을 불러모을 수 있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탈바꿈하여 지역경제도 활력을 찾게 될 것이며, 이러한 정책을 한 축으로 담은 범부처 합동 「(가칭)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대책」을 6월 중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혀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세계인이 찾아오는 상권(글로컬) 명소로 육성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