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국민과 함께 뽑는다.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20021 | 등록일 2020-06-24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97102&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을 국민과 함께 선정하기 위해 6월 23일부터 7월 31일까지 국민평가단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해 작년에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국산화를 이끌 강소기업 55개사를 선정(1차)했고, 올해에는 나머지 45개사를 선정(2차)하기 위해 6월 25일까지 신청을 접수를 받고 있는 중이다.
 
올해 강소기업 선정평가는 1차 서면평가, 2차 현장·심층평가, 3차 대국민 공개심사 순으로 약 3개월 간 진행될 예정이다. [참고 1]
 
* 평가일정 : (서면평가) 7월 중순, (심층평가) 8월 중순, (대국민 공개심사) 8월 말
 
국민평가단은 강소기업 선정평가의 마지막 관문인 3차 대국민 공개심사에서 후보기업의 발표와 평가과정을 직접 모니터링하고 발표기업에 대한 평가의견을 제시하는 역할이다.
 
국민평가단에는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경력 등 일정 요건을 갖춘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6월 23일부터 7월 31일까지 온라인(www.소재부품장비강소기업100.kr)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작년 1차 강소기업 100 국민평가단 신청에는 열흘간 총 865명(경쟁률 8.7:1)이 참여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으로 선정될 경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참고 2]
 
* 지원내용 : (정책자금) 100억원, (보증) 30억원, (R&D) 20억원 등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일본 수출규제, 코로나19 확산 등에 따른 글로벌 밸류 체인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과 성장잠재력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면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강소기업에 정부지원이 집중되는 만큼 투명하고 공정한 선정을 위해 국민평가단의 의견을 평가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과 이우종 주무관(☎ 042-481-4447)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평가일정(2차 선정, `20.하)
 
□ (선정절차) 외부전문가(유관기관, 산학연 전문가, 수요기업 임직원 등)와 대국민 중심의 3단계 평가를 거쳐 강소기업을 최종 선정
 
< 단계별 선정 절차 >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소기업
(5월~6월)
서면평가
(7월 중순)
심층평가
(8월 중)
대국민공개심사
(8월 말)
요건심사
심층평가 대상기업 선정
후보기업 선정
대국민 공개 평가로
강소기업 선정
     
                 
공개모집   외부전문가
+
유관기관 전문가
  심층평가위원회   선정심의위원회
+
국민평가단
             
전담기관   요건검토
약식기술평가
  현장평가
(기술혁신전략평가+KTRS)
   
 
① (1차 : 서면평가) 신청기업의 신청요건 충족여부, 결격 여부,
약식기술평가 등을 통해 기본적인 평가 진행
 
- 평가의 신뢰성 확대를 위해 유관기관* 및 외부전문가가 평가
 
* 기보, 기정원, 중진공, K-VIC 등 강소기업 지원사업을 운영하는 기관
 
② (2차 : 심층평가) 「기술혁신성장전략서」의 타당성 확인을 위해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분과별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층평가 진행
 
- 공정하고 신뢰성 있는 전문가 심층평가 지원을 위해 스마트
기술평가 시스템인 KPAS*와 KIBOT** 등을 평가에 적용
 
* 특허자동평가시스템으로 특허가치를 금액으로 자동 환산
** 기보가 축적한 30만여개의 평가데이터를 학습하여 기업의 평가등급을 자동으로 산출
 
③ (3차 : 최종평가) 후보기업의 공개 발표 등 대국민 공개평가를 거쳐 「강소 100 선정심의위원회」에서 강소기업을 최종 선정
 
- 국민평가단은 최종평가에 참여하여 전 과정을 모니터링하며
후보기업의 발표를 듣고 의견 제시
참고2   강소기업100 지원 주요내용
 
□ 강소기업 지원 내용 (’19년 발표)
 
    강소기업에 대한 주요 우대 지원사업(기업당 지원)
 
     
전담 지원체계   강소기업별 「기술혁신지원단」 전담 PM의 1:1 밀착지원
(지원애로 해소, 기술이전, 수요기업 연계, 사업화 연계지원 등)
 
                   
기술개발
단계
  R&D사업 우선지원
(최대 20억원)
+ 연구인력 지원
(채용․파견 시 각 3년간
최대 1.5억원 등)
+ R&D 연계지원
(IP분석, 시제품 Test
등 최대 2억원)
 
                   
사업화 단계   중진공 정책자금
최대 100억원 +
 
보증 최대 30억원
+ 소재․부품․장비
전용펀드 중점 투자 (’22년까지 3천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
+ 수출바우처, 수출국 규격인증 획득 지원
(각 최대 1억원)
 
                   
공정혁신 단계   스마트공장 고도화
(최대 1.5억원)
+ 로봇 생산공정 도입
(최대 3억원)
 
                   
 
□ 강소기업 추가지원 내용 (’20.6.15일 발표)
 
ㅇ R&D 가점 지원 강화 (‘20.6월~)
 
- 강소기업에게 부여하던 가점(5점)을 타 가점과 구분되도록 한도외로 적용하여 실질적인 지원으로 이어지도록 강화
 
* (기존) 타 가점과 합산해 강소기업에 최대 +5 → (개선) 강소기업에 별도가점 +5 부여
 
ㅇ 투자형 R&D 지원 (‘20.7월~)
 
- (지원대상) 소재·부품·장비 및 언택트 분야의 도전·혁신적 모험을 지원
 
- (투자조건) 강소기업의 경우 최대 2배수 이내 30억원까지 매칭 투자
 
* 일반기업의 경우 최대 1배수 이내, 20억원까지 매칭 투자
 
- (인센티브) 강소기업의 도전적 R&D 투자를 통한 성과 창출을 독려하기 위해 콜옵션 부여 및 우선손실충당 등 허용
 
ㅇ ’21년 강소기업 전용 R&D 신설 추진
 
- 강소기업 단독으로 진행하는 기술개발 사업과 대학·연구기관과 협업하는 기술개발 사업을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신설할 수 있도록 추진
 
ㅇ 강소기업 보증한도 상향 (‘20.3월~)
 
- 강소기업은 보증 우대한도를 30억원(일반기업 15억원)으로 상향하고
예외적으로 신보와의 중복 보증지원을 허용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