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페이백 접수 첫날 79만명 신청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16 | 등록일 2025-09-17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708567&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16일(화) 상생페이백 접수 첫날인 15일(월)에 약 79만명이 신청했다고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의 국민을 대상으로 작년 월 평균 카드소비액보다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늘어난 경우, 증가한 금액의 20%까지 월 최대 10만원(3개월 30만원 한도)을 전통시장 및 상점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어 소비 진작과 취약상권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5부제 접수 첫날인 어제 791,798명이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을 통해 신청하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44만명(55.5%)이,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5.2만명), 경남(4.5만명) 순으로 신청을 많이 하였다.
 
* 수도권 신청현황(만명): 경기 21.4, 서울 17.6, 인천 5.0
 
** 이 외 비수도권 신청현황(만명): 대구 4.0, 경북 3.1, 충남 2.7, 대전 2.5, 광주 2.4 순
 
< 신청 분산을 위한 5부제 실시 >
 
일자 9.15(월) 9.16(화) 9.17(수) 9.18(목) 9.19(금) 9.20(토)~11.30(일)
출생연도
끝자리
5, 0 6, 1 7, 2 8, 3 9, 4 모두 신청가능
 
15일 페이백 신청자 기준으로 지원대상자 여부와 지난해 월평균 카드실적을 이틀 후인 17일(수) 오전부터 알림톡으로 안내할 예정이다. 올해 9월 1일부터 누적 카드실적은 18일(목)부터 상생페이백 누리집 "페이백 및 소비복권 조회하기" 메뉴에서 확인(확인일 기준, 2일전까지의 실적)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페이백 신청안내처가 국민·우리·농협은행 및 농축협 외 신한은행(650곳 영업점)이 추가 참여함에 따라 안내 영업점이 8,100여곳으로 늘어 접근성이 높아졌다.
 
상생페이백 소비액 인정 사용처도 확대했다. 종전에는 하나로마트 중 마트・슈퍼・편의점 등 유사 업종이 없는 "면" 지역 소재 내 123곳만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지난달 21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편의성 제고방안이 시행되면서 상생페이백도 이에 맞춰 유사업종이 부족한 읍·면단위 657곳까지 늘려 총 780개로 사용처를 확대하였다. 또 지역 생산 농산물을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로컬푸드직매장" 251곳도 새롭게 인정 사용처에 추가하였다.
 
아울러 상생페이백 런칭 기념으로 이달 30일까지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상품권을 누적 5만원 이상 충전하면 추첨을 통해 1만원의 상품권을 총 1만명에게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상생페이백을 몰라 신청하지 못한 국민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사업 수행에 차질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