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만의 변화, 중소기업 기준 확대!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378 | 등록일 2025-05-08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42766&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10년만의 개편! 중소기업 기준 이렇게 달라집니다

10년만의 개편! 중소기업 기준 이렇게 달라집니다

10년만의 개편! 중소기업 기준 이렇게 달라집니다

10년만의 개편! 중소기업 기준 이렇게 달라집니다

10년만의 개편! 중소기업 기준 이렇게 달라집니다

■ 중소기업 기준이 이렇게 바뀝니다.
중소기업 매출 기준 최대 1,500억 원에서 1,800억 원으로 상향, 구간 5개 → 7개로 늘리면서 44개 업종 중 16개 업종의 매출상한을 현행에서 200~300억 원 확대.

소기업 기준은 최대 120억 원 → 140억 원 상향, 구간 5개 → 9개로 늘리면서 43개 업종 중 12개 업종의 매출 상한을 현행에서 5~20억 원 확대.

■ 혜택 계속 받는 중소기업 573만개
전체 중소기업 804만 개 중 상향 업종에 속하는 약 573만개 기업(중기업 6.3만개, 소기업 566.7만개)은 안정적 세제 감면, 공공조달, 정부 지원사업 등 지속 수혜 가능.

■ 업종별 현실을 반영하여 개편안을 확정했습니다.
예를 들어,

- 1차 금속 제조업
수입 비철금속 국제가격 60% 이상 상승, AI 데이터센터 구축 수요 등으로 원가 부담 가중되는 상황 고려.

- 자동차 제조업
美 품목별 관세 25% 영향으로 어려움 예상, 단품제조방식에서 모듈제품 조립 방식으로 공급구조가 변하여 수익성 변화 없이 매출만 커지는 상황 감안.

업종 내 기업 분포와 현행 매출기준의 적정성, 업종별 물가상승률, 중소기업 졸업률 변화, 경상성장률 등을 종합 분석 업계 의견 14차례("25.1~3월) 수렴 후 개편안 마련.

오영주 장관은 "이번 개편을 통해 단순 물가 상승에 따른 중소기업 지위 상실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소규모 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을 할 수 있어 기업 성장 사다리가 보다 견고해질 것입니다.

또한, 미국의 관세강화로 인한 수출 가격경쟁력 확보,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 악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전망했습니다.

"아울러, 전문가·학계·중소기업계와 합의를 거쳐 범위 기준 개편의 원칙과 기준이 마련된 만큼 향후 5년마다 시행되는 범위 기준 검토 시 예측 가능성과 현장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